[현장연결] 중대본 "대구 요양병원 전수조사 완료…0.7% 양성 확인"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가 코로나19 환자 추가 발생 현황 등을 설명합니다.<br /><br />현장 연결합니다.<br /><br />[권준욱 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<br /><br />3월 24일 0시 현재 국내 발생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총 누적 확진자 수는 해외 유입 171명을 포함해서 9037명이며 이 중 3507명이 격리해제되었습니다.<br /><br />신규 확진자는 76명이고 격리해제는 341명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격리 중 환자는 감소하였습니다.<br /><br />지역별로는 대구가 31명으로 가장 많고 검역 과정에서 20명을 확인하였습니다.<br /><br />전국적으로 80.4%가 집단발생과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개별적인 발생을 볼 때 서울의 구로구 소재 콜센터 관련해서 2명의 자가격리 중 추가 확진자가 발견되어 현재까지 총 158명의 확진자가 확인되었습니다.<br /><br />경기도 군포에 소재한 효사랑요양원에서 8명이 격리 중 추가로 확진되어 현재까지 총 14명의 확진자가 확인되었습니다.<br /><br />대구에서는 요양병원 등 고위험 집단시설에 대한 전수조사가 완료되었습니다.<br /><br />검사 결과가 확인된 3만 2400여 명 중에서 0.7%인 224명이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전수조사 과정에서 요양병원 3개소에서 14명의 확진자가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.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는 3월 22일부터 유럽발 모든 입국자에 대해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는 1203명이 입국하였고 유증상자가 101명, 무증상자는 1102명으로 분류되어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부터 유럽 지역 입국자 급증에 따른 유증상자 증가에 대비해서 유증상자 중심으로 검역대응 체계를 효율화하기 위해서 오늘 14시부터는 내국인 무증상자는 자가격리를 실시하고 단 관할보건소에서 입국 후 3일 이내에 검사를 실시하겠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은 시설 격리 후에 검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있고 외국인 중의 장기체류자인 음성인 경우 14일간 자가격리 조치를 하고 단기체류자는 능동감시를 수행합니다.<br /><br />기존 확보된 입국자 검사 대기 격리시설 중 일부를 유증상자 격리시설로 전환할 예정으로 있습니다.<br /><br />유럽발 입국자는 현재 약 90% 내외가 사실상 내국인으로 우리 국민들이 다 들어오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유학생, 출장 후 귀국, 주재원, 가족, 교민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<br /><br />신규 확진자 76명 중에서 해외 유입 관련된 사례가 22건으로 약 29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별히 유럽에서의 해외유입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 여행자 분들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22건 중에 유럽이 18건, 미주가 4건, 내국인, 외국인의 비율로 볼 때는 22명 중의 외국인이 2명 그리고 검역을 통해서 20건을 발견하였습니다.<br /><br />연구 개발 등과 관련해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추경예산 40억을 확보해서 항체 치료제 개발 그리고 기타 다른 민관연구 협력도 진행할 예정으로 있습니다.<br /><br />주요 임상시험으로는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을 사용해서 선제적인 예방용 임상투여를 시험하는 부분, 그리고 하이드록시 클로로퀸이나 칼레트라 등을 이용한 환자 대상 임상시험 또 기존에 승인된 약물을 이용한 임상시험 마지막으로 혈장 치료제를 이용한 임상시험 등을 추진할 예정으로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대유행이 지속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종교시설, 사업장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오는 4월 5일까지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있고 그에 실천을 다시 한 번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께서는 4월 5일까지 최대한 집에 머무르시되 꼭 필요한 생필품 구매, 의료기관 방문, 출퇴근 시를 제외하고는 외출을 삼가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또 사업장에서 사업주들께서는 직원 좌석간격을 확대하거나 재택근무, 유연근무 등을 통해서 직원끼리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감염 위험이 높은 종교시설이나 일부 실내체육시설, 유흥시설 등에 대해서는 업종의 운영을 제한하는 조치를 현재 함께 시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 주요 브리핑 내용이었습니다.<br /><br />[진행자]<br /><br />그러면 기자님들 질의에 답변하는 답변하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사전질의받은 세 가지 질의에 대해서 먼저 질문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첫 번째 질의입니다.<br /><br />후각 약화나 상실이 코로나19 초기증상 또는 징후일 수 있다는 국내외 전문가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대본은 이에 대해 어떤 입장인지 관련된 국내 통계나 자료를 확보했는지 궁금하다라는 질문입니다.<br /><br />[권준욱 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<br /><br />후각의 약화나 상실 등과 관련해서 외신을 통해서 또 국내 특별히 동 질환과 관련해서 이비인학회 등을 중심으로 증상과 관련된 문제제기가 있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현재 코로나19와 관련된 감시체계의 주요증상으로는 주로 발열 그리고 호흡기증상으로 기침이라든지 호흡 곤란 등으로 저희가 일단 전체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전체 전문가들 또한 중앙임상위원회 등과 상의를 해서 관련된 어떤 임상 정의의 확대라든지 이런 부분은 논의를 해보겠으나 현재까지 세계보건기구를 비롯한 각국의 방역기구에서는 방역을 관장하고 있는 기구에서는 일단은 열 그리고 주요 호흡기 증상을 중심으로 감시체계, 서벨런스를 일단 가동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[진행자]<br /><br />두 번째 질문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치매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는 몇 명 정도인지 궁금하다라는 질문이 있습니다.<br /><br />[권준욱 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<br /><br />현재 코로나 확진환자 규모가 상당히 숫자가 9000명이 넘을 정도로 많은데 일단 저희가 사망자와 관련해서 오늘 사망자가 보도자료에는 120명으로 돼 있습니다마는 안타깝게도 최신 분석을 보면 자료 수집 결과 124명의 사망자가 발생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하루 새에 13명의 사망자가 더 늘어났는데 저희가 124명 사망자 중에는 치매환자가 34명 그래서 약 24.7%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그렇게 확인을 하였습니다.<br /><br />전체 확진환자 가운데 기저질환이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저희가 시간을 가지고 분석하고 말씀드리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.<br />...